주말 잘 보내셨나요? 월요일 아침, 어김없이 찾아온 메디브 뉴스레터입니다. '저 침 잘 맞아요', '세게 맞아야 맞은 느낌이 들어요', '침 너무 아파요', '살살 놔주세요'. 환자분들이 종종 이렇게 말씀을 하기도 하고, 침치료를 하면서 똑같이 치료해도 어떤 분은 너무 아팠다고 하고, 다른 분은 느낌이 없다고도 하시죠.
근막유발점에 자침하다보면 종종 근육의 연축반응(twitch response)을 관찰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반응은 좋은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그런데 서양의 침치료 의사들은 근막유발점을 덮고 있는 피부층에만 자침을 해도 효과를 보고했어요.🤔
피부? 근육? 골막? 침을 어디까지 자침해야할까요? 깊이를 조절하면 하나의 침으로도 여러 분절을 자극할 수 있답니다. 피부에 자침한다면 Aβ섬유를 자극하지만 근육까지 자침한다면 type 3 신경섬유까지 자극할 수 있어요. 실제로 Ceccherelli 등에 따르면 피하조직에 자침하는 것은 근육에 자침하는 것에 비해 치료 효과가 약했다고 해요. (원문보기)
자침 부위의 혈류증가 효과도 자침 심도에 따라 달랐어요. Sandberg 등의 연구에 따르면, 피부에 자입했을 때 < 근육에 자입했을 때 < 득기감이 유발될 때 순서로 혈류증가가 강하게 일어났어요. (원문보기)
득기감을 일으키되, 아프지 않게😃
득기감은 환자가 침 치료 시 느끼는 감각인데요. 대표적으로 시린 느낌(산), 마비감(마), 묵직함(중), 팽창감(창)이 있죠.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득기감은 감각 신호를 척수후각으로 전달하는 ‘일차 구심성 신경섬유’들을 자극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마비감, 팽창감과 묵직함은 Aβ섬유와 Aδ섬유에 의해 나타나며, 쑤시고 시린감은 Aδ섬유와 C섬유가 매개한다고요.
득기감은 치료효과와도 관련있어요. Spaeth 등의 연구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짜 침을 시술한 환자들은 거짓침을 시술한 환자들에 비해 강한 득기감과 나은 치료효과를 보였어요. (원문보기)
득기감을 유발하기 위해 제삽이나 염전 등의 수기법을 사용하는데요. 욕심을 내어 너무 강한 자극을 주는 것은 조심해야해요.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방출되는 진통물질인 아데노신은 적은 농도에서는 국소 진통을 유발하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통각을 유발하기 때문이에요. 더 큰 자극을 위해서는 전침 치료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랍니다.
강하게? 약하게? 상황에 따라 달라요🤔
침 치료에는 전신적인 효과도 있다는 사실, 기억하시죠? DMN(내정상태회로)은 만성통증환자의 경우 활성화되어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침치료를 통해 DMN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어요. 자침 개수를 늘려 침 치료 강도를 높이면 효과가 증가해요. (원문보기)
또한 침 치료는 통증의 정서적 측면과 연관되어 있는 변연계를 비활성화시켜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는데요. 변연계를 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아픈 자극을 피해야 한다고 알려졌어요. (원문보기)
그런데, 통증 조절을 위해서는 강한 치료가 필요해요. 중뇌의 내인성 오피오이드 분비를 위해서는 침을 아플 정도로 강하게 자극해야 하거든요. 골막작탁법이라는 자침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는데요. 침을 골막까지 깊숙하게 자침하고 두드리는 방법으로 근육에 자침하는 것보다 자극이 강하답니다.
환자분이 유독 아파하시는 이유는? 약하게 시작하세요😢
같은 치료에도 너무 아파하는 환자분들이 있죠? 사람마다 유전적 차이로 인한 내인성 오피오이드 대사 및 활성도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해요. 실제로 가벼운 자극의 치료로도 좋은 효과를 보시는 환자분도 계시는 반면 강한 치료를 여러 차례 진행해야 하는 환자분들도 계시죠.
침에 대한 반응도를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은 없기에 다른 방법으로 환자의 침 치료 민감도를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면, 치료 시 약한 자극부터 시작해 점차 강도를 높여가는 방법을 추천해요.
환자분이 약한 강도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침 개수와 유침 시간을 늘리는 방법, 자침 심도를 점차 깊게 하는 방법, 염전과 제삽 등 수기법을 적용하거나 전침자극을 이용할 수 있어요.
참고로, 자침 도중 환자분이 심한 날카로운 느낌 및 통증을 느끼신다면 침이 신경 혹은 신경벽혈관에 닿았을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 침을 조금 뒤로 빼면 괜찮아지니 환자분을 안심시켜드리면 좋겠죠?🙂
오늘도 침 치료 용량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월요일 되세요! 화이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