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했을 때, 중완혈(CV12) 치료가 많이 활용되는데요. 어디까지 자침해야 안전한지 아시나요? 오늘은 지난 호 뉴스레터에 이어서 초음파 기기를 사용한 한의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논문들을 좀 더 살펴보려고 해요.🙂
초음파로 더 안전한 한의 치료😃
지난 호에서 살펴봤듯이, 침치료는 안전한 치료라는 사실이 대규모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지만, 부작용이 전혀 없는 치료는 아니에요. 환자의 체형이나 자세, 한의사의 시술 각도나 깊이에 따라 기흉이 유발할 수 있는 견정혈(GB21)처럼 치료 시 주의가 필요한 혈자리들이 있거든요.
김성하 등이 발표한 2017년 연구에서는 안전하고 정확한 한의 치료를 위해 견정혈(GB21)과 같이 위험도가 높은 44개 경혈을 초음파 영상으로 분석했고, 경혈 부위의 혈관, 신경, 장기 등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했어요. (원문보기)
2019년에는 한의학연구원과 원광대학교가 ‘고위험 부위 초음파 유도하 자침 핸드북’을 발간해 전국 한의과대학 실습 교재로 보급했어요. 핸드북에는 침 치료시 주의가 필요한 흉복부, 두경부, 어깨부 등의 44개 혈자리가 포함되었어요. (원문보기)
2022년 9월에는 ‘한의사를 위한 경혈 초음파‘가 공개되었죠. 해당 기기는 침이 인체로 들어가는 예상 경로를 실시간으로 보여주고 예측하는 기능이 특징으로 소개되었어요. (원문보기)
중완혈은 심자하면 간을 찌를 수도 있어요! 추홍민 등은 85명을 대상으로 중완혈 부위를 초음파로 촬영한 결과 52명에게서 간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안전한 자침 깊이는 25.3 ± 10.2 mm 였는데요. 깊게 자침하는 경우 개인차를 무시할 수 없다고 해요. (원문보기)
척추관협착증 치료에도 초음파를 사용하면 안전성을 높여줘요. Xinyue Zhu 등의 카데바 연구에 따르면 초음파 유도 도침 치료는 침끝의 척추관 진입, 혈관 손상을 방지했어요. (원문보기)
'초음파 유도 한의 치료', 활발히 연구중👍
초음파를 활용한 도침치료가 방아쇠 수지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었다고 해요. Min Pan 등은 초음파 가이드 치료군 환자 20명과 와 블라인드 치료군 환자 20명을 비교했는데요. 연구 결과 초음파 가이드 환자군에서는 1회 치료 후 증상이 모두 호전되었고, 부작용도 없었어요. (원문보기)
교통사고 후유증 환자 치료에도 초음파 활용이 효과적이었어요. 교통사고로 유발된 급성 경추통 환자를 대상으로한 양재은, 오민석 원장님의 후향적 연구인데요. 초음파 유도 약침 병행치료가 블라인드 치료에 비해 유의한 목의 기능이상 개선을 보였어요. (원문보기)
손목 수술 환자의 재활에도 초음파 유도 침치료가 효과적이에요. Chu XL 등은 손목 정중신경 접합수술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일반 재활치료 + 전침 치료군과 일반 재활치료 + TENS 치료군을 비교했는데요. 전침 치료를 위한 최적의 침 위치 설정을 위해 초음파를 활용했답니다. 연구 결과, 재활치료와 전침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근력, 감각이 더 큰 개선을 보였어요. (원문보기)
오늘은 초음파 사용의 장점,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해 살펴봤어요.
메디브 뉴스레터는 금요일에 다시 찾아올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아요>
“초음파 영상진단기, 한의 의료행위 더 발전시키고 질병치료 혁신 역할 했으면”
“한의학, 미래의학 선도 위해서는 경혈 초음파기기 등 첨단기기 이용해야”
초음파 영상기기 활용을 통한 침치료 발전 전망
<한의 토막 상식>
침치료는 여러 차례 받을수록 효과가 증가한다!😮
침치료를 받으면 중뇌에서 진통효과가 있는 내인성 오피오이드가 방출된다는 사실, 지난 뉴스레터에서 다룬 바 있는데요. 침치료 자극이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더 많은 내인성 오피오이드를 만들고,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이렇게 증가된 유전자 발현은 시간이 지나면 약해져서 평소 수준으로 돌아간다고 하니 단기간에 반복해서 치료를 받아야 더 효과적이겠죠?
출처: 침의 과학적 접근의 이해. 2021. Adrian White 저 / 이승훈 역. 한미의학 (책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