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디브 뉴스레터입니다.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에 소화불량 증상이 심해져서 침치료를 받았어요.😂 침과 한약을 통한 건강관리, 한의사라면 일상인데요.
환자분들에게는 어떨까요? 한의사는 크게 의식하지 않는 침치료의 안전성이 환자분들에는 작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오늘 주제는 침치료의 안전성이에요. 간혹 침치료의 부작용을 염려하시는 환자분이 계시면 자신있게 설명드리자고요.🤓
침치료, 안전한 치료로 입증되었어요👍
우리나라, 중국뿐 아니라 미국, 독일, 영국에서도 침치료가 널리 활용되고 있어요. 이들 나라에서는 일찍이 침치료의 안전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들이 이뤄졌는데요. 결과를 살펴볼까요?
Witt CM 등은 침치료를 받은 229,2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한 관찰 연구를 통해 전체 8.6% 환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보고했고, 2.2% 환자들이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부작용을 보고했다고 발표했어요. 가장 흔한 부작용은 출혈과 혈종인데요. 전체 부작용 중에 58%를 차지했어요.(원문보기)
7,679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고찰 연구도 있어요. Bäumler P 등의 연구결과, 전체 환자의 9.31%에서 하나 이상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는데요,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부작용은 1,000명 중에 1.14명에서만 보고되었다고 해요. 전체 부작용의 절반정도는 출혈, 통증이었어요.(원문보기)
최근에는 국내에서 수행한 연구도 발표되었어요. 환자 37,490명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 중 4,518명 환자(12%)에서 하나 이상의 부작용이 보고되었어요. 보고된 부작용은 대부분 가벼운 증상인 출혈, 침 놓은 부위의 통증, 멍듦이었어요. 👏(원문보기)
한의사의 침치료, 안전합니다💪
대규모 연구들이 침치료의 안전성을 말해주고 있지만, 침치료가 위험하지 않은 치료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답니다. 날카로운 침끝으로 피부를 뚫는 침습적인 치료이기에 잠재적인 감염 위험성이 있거든요. 침치료는 반드시 한의사에게 받아야 하는 이유기도 한데요.
한의사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일회용 멸균침, 일회용 부항컵, 일회용 주사기 사용, 시술 전후 손씻기 등 감염관리에 노력하고 있어요. 김주철 등의 연구에 따르면, 한의사들의 감염 관리에 대한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고해요.😊
초음파를 통해 침치료는 더욱 안전해질 전망!😃
목과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자주 사용하는 견정혈(GB21). 침이 들어가는 각도, 심도에 따라 기흉이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치료시 주의가 필요한데요.
추홍민 등의 연구에서는 자세와 호흡에 따라 견정혈(GB21)의 안전한 자침 깊이가 달라졌기에 검사를 통해 환자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를 초음파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어요.(원문보기) 이처럼 초음파를 사용하면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침치료를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어요. 앞으로가 더 기대되죠?🙂
오늘은 침치료의 안전성에 대해 살펴봤어요.
환자분께 침치료가 안전한 치료임을 이제는 자신있게 설명드리자고요!😁
메디브 뉴스레터는 수요일에 다시 찾아올게요. 월요일 모두 화이팅이에요.
(참고)침치료 부작용, 미리알고 예방하자😮
<혈관과 신경>
멍이 드는 것을 방지하려면 최소 2분 압박하기
목부위와 얼굴부위 출혈로 인한 혈종에 주의하기(미관상 문제에요.)
팔꿈치와 오금부위 등 큰 혈관에 침치료는 가급적 피하기
양릉천(GB34) 치료시 총비골신경 손상 주의하기
<감염에 취약한 경우>
귀의 연골 / 종양 후 림프부종이 있거나 발생하기 쉬운 사지 / 관절강, 골절부위 / 인공관절 부위 / 면역이 저하된 환자
출처: 침의 과학적 접근의 이해. 2021. Adrian White 저 / 이승훈 역. 한미의학 (책 정보)
간추린 내용이니 원문을 확인하셔야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