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라면 한번쯤은 들어본 질문들이 있어요. "침은 원래 아픈데 놓나요?", "침 맞은 곳이 붉어졌는데요?", “어? 저 발은 안아픈데 왜 침을 놔요?“ 등등
허준 선배님이 질문을 받으셨다면? 오랜 임상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전통 한의학 원리로 환자분들에게 설명했을거에요. 그런데 과거와 달리 우리가 만나는 환자들은 한의학 용어를 생소해하시는 경우가 많지요.😭
하지만 한의학도 과거와는 사뭇 달라졌어요. 침치료는 우리나라,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만 이뤄지는게 아니거든요. 미국, 유럽에서도 침치료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침치료의 효과 기전을 규명하고자하는 과학적 연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어요. 전통 한의학 용어가 아닌 설명도 충분히 가능해진거에요.
메디브 2번째 뉴스레터에서는 침치료를 받을 때 침을 놓은 자리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환자분들께 어떻게 설명드리면 좋을지 정리해봤어요.🤓
이번 호와 다음 호 뉴스레터를 준비하면서 참고한 도서는 제가 본과생시절, 한까들과 싸울때 든든한 힘이 되어줬던 친구입니다. 그때는 영문판만 있었는데, 지금은 번역본도 나오고 비슷한 다른 책도 출간되었어요.👏
"긴장한 근육을 풀어주고, 통증을 줄여줘요"
과거에도 아픈 부위에 침을 놓았습니다. 한의학에는 아시혈이라는 개념이 있는데요. 중국 당나라 때 처음 사용된 용어로서 한의사가 촉진할 때 환자자가 “아!” 소리를 내며 아파하는 자리를 혈자리로 보고 치료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몸에 침을 놓으면 침이 조직이 손상시키면서 조직에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분비된다고 하는데요. 이 아데노신(Adenosine)은 신경섬유를 차단하여 통각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다시 말해,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줄여주는 것이지요.
근육이 뭉쳐서 아플때도 한의원이 최고죠? 요새 자세 좋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든데요. 자세가 나쁘면 근육이 긴장되고, 긴장된 근육에는 근막유발점(Myofacial Trigger Point)이라는 것이 생겨서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해당 부위에 침치료를 하면 이 근막유발점을 비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해요.😊
침의 과학적 접근의 이해. 2021. Adrian White 저 / 이승훈 역. 한미의학 (책 정보)
침의 과학적 접근과 임상활용. 2019. Jacqueline Filshie 저 / 이승훈 등역. 한미의학 (책 정보)
"혈액 순환을 좋게 해줘요"
가수 성시경님이 정안침을 맞아 화제가 된 적이 있어요. 성시경님은 얼굴에 침을 맞고 나면 색이 좋아진다고 말씀하시는 장면이 있어요. 저도 정안침을 맞아본 적이 있는데요, 얼굴이 후끈하고, 전체적으로 탱탱해졌다는 느낌을 받았답니다. 어떤 원리일까요?
침을 놓은 부위에는 CGRP(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라는 물질이 방출되는데요, 이 물질은 혈관을 확장시키거나 새롭게 혈관을 만드는 작용을 한다고 밝혀졌어요. 또한 앞서 언급한 아데노신 역시 비슷한 효과가 있다고 하니, 침을 놓은 부위에 혈액 순환이 좋아지겠네요.👏
침의 과학적 접근의 이해. 2021. Adrian White 저 / 이승훈 역. 한미의학 (책 정보)
침의 과학적 접근과 임상활용. 2019. Jacqueline Filshie 저 / 이승훈 등역. 한미의학 (책 정보)
"염증을 줄여주고, 결합조직 손상을 회복시켜요"
자침 후에 염전 많이 하시나요? 침을 놓고 빙빙 돌리게 되면 주변 조직이 꼬여지는 느낌이 있잖아요? 이렇게 침을 염전하는 행위는 스트레칭과 그 기전이 비슷하다고 알려졌는데요.
이는 섬유모세포(Fibroblast)를 자극하여 콜라겐 등의 결합조직 손상을 회복시킨다고해요. 인대와 힘줄이 다친 환자는 침을 빙빙 꼬아야겠어요. 참고로, 최소 5분 이상 염전된 상태로 두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침치료가 운동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는 연구도 있어요. 침을 놓으면 마이오카인이라는 물질이 분비되는데 골격근의 수축시에도 생기는 물질이라고요. 이 물질은 항염증 작용도 한다고 알려져있어요.😉
침의 과학적 접근의 이해. 2021. Adrian White 저 / 이승훈 역. 한미의학 (책 정보)
침의 과학적 접근과 임상활용. 2019. Jacqueline Filshie 저 / 이승훈 등역. 한미의학 (책 정보)
오늘은 침치료 작용 기전을 살펴봤어요.
그중에서도 침을 놓은 부위에 어떤 작용이 나타나는지 알아봤습니다.
환자분들께 이렇게 설명드리면 어떨까요?
Q. 원장님, 침을 왜 거기에 놔요?
1.근육을 이완시키고, 통증을 감소시켜요.
2.혈액 순환을 개선시켜요.
3.염증을 줄이고, 결합조직을 회복시켜요.
4. 스트레칭, 운동과 비슷한 효과에요.
저는 오늘 진료부터 침을 빙빙 돌려보려고 해요. 물론, 왜 돌리는지도 설명드리고 나서요!😁